본문 바로가기
도서/6일 약국으로 갑시다

고객에 앞서 직원부터 감동시켜라 3편

by 에스엠프 2022. 5. 13.
반응형

"네 가지 금기사항" 

 

김성오 대표님이 운영하는 메가스터디에는 네 가지 금기 사항이 닸다고 한다 

  1. 첫 번째는 아닌 것을 맞다고 말하지 말라
  2. 두 번째는 맞는 것을 아니라고 말하지 말라
  3. 세 번째는 작은 것을 크게 과장하지 말라
  4. 네 번째는 큰 것을 축소하여 말하지 말라 

이 글을 읽는 순간 "말이 쉽지 이게 가능한가"라는 생각이 들었다

특히 샐러리맨들이나 아님 회사를 운영하는 사람들에게는 과연 가능할지 의문이 들지만 현) 메가스터디 부회장님이자 엠베스트 사장으로 계시는 분의 말씀이니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지 않을까?

 

책에서는 회사를 홍보하려 했을 때 회사의 회원수가 8만 8000명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회사의 홍보를 위해서는 10만 명이라고 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보통 기업들은 10~20%는 반올림하는 게 관행이라고 하는 말에 김성오 대표님은 "왜 외상을 하려고 하냐 안된다 오히려 10만 명을 목표로 삼을 수 있는 좋은 기회다"라고 말씀하신다

거짓은 또 하나의 거짓을 낳고 결국에는 신뢰를 잃게 된다 회사를 다니는 직원들은 뻔히 속사정을 다 아는데 언제 가는 반드시 들통나게 되어있다 경영자는 올바른 모습을 보이면 그에 따른 직원들도 바른길로 따라온다는 것이다 

 

또한 세금도 마찬가지라고 하신다 만약 10,000원의 이익중에 3,000원이 세금이라고 했을 때 당장의 이익을 위해 3000원 탈세하게 되면 뭐가 달라지겠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 금액이 커져 나중에는 그것이 회사가 성장하는 데에 발목을 잡아 침몰할 수 있다고 하신다 당장의 이익에 눈이 멀어 신뢰를 저버리는 바보 같은 행동은 하지 말아야겠다 

"매일 성공하는 사람 vs 매일 실패하는 사람 "

 

매일성공하는 사람 매일 실패하는 사람
아무리 작은 성공이라도 행복하게 받아 들인다
ex) 제 시간 출근 
큰것을 성공하고도 늘 부족하다고 느낀다
ex) ... 때문에(공통점)

 

당신은 어떤 사람인가? 

나에게 묻는다면 나는 매일 실패하는 사람이었다 사업실패에 대한 책임을 다른 곳에 돌리기 바빴고 주변을 탓했으며 부모님을 원망했다 어리석게도 여자 친구에게도 그 책임을 돌렸다 그리고 이렇게 태어나도록 한 하나님을 원망했고 나 자신을 믿지 못했다. 사업을 하면서 이와 반대되는 행동을 했더라면 지금의 내 모습은 어떨까? 지금과는 엄연히 다른 모습을 하고 다른 글을 쓰고 있었을 것이다 

 

 

김성오 대표님은 이렇게 말씀하신다

1. 성공하는 습관을 매일 실천한다 작은 성공을 거듭하다 보면 큰 성공에 대한 노하우가 자연스럽게 생긴다 성공의 크기에 연연하지 않고 매일매일 경험을 쌓아 나가는 것이다 아무리 작은 성공이라도 행복하게 받아들여라 큰 도전이 두렵다면 작은 것부터 시작한다 게으름과 나태함과 싸워 자신의 습관과 신념 성실함과 친절 노력과 열정을 승리로 이끌자 ▶성공하는 습관 중 제일 작은 성공 하나하나 리스트를 만들어 매일 실천하고 점검한다

 

실패는 경험이자 노하우다 ▶왜 실패했는가 적어보고 행동해야 노하우가 된다 나는 이 책의 내용 하나하나가 정말 공부가 된다 하지만 생각으로 끝나면 변화는 없다 생각한 것을 실천해야 변화가 생긴다 이 글을 읽는 당신은 나와 같은 잘못을 거울 삼아 성공적인 삶을 기원합니다 

 

댓글